국방섬유 국산화 7% 3년째 제자리 ‘부지하세월’
연간 6천억 군피복류중 전투복 520억원만 국산화
해당 부처 장·차관 설득 못하고 실무진은 보직 바뀌어
위기의 섬유산업 처방 군피복류·경찰·소방복 국산소재 사용
섬산련 ‘국산소재활성위’ 과감히 개편, 대정부 설득모드 시급

국내 섬유산업이 갈수록 고갈된 일감부족으로 가동률이 급속히 떨어지는 벼랑끝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기사회생 문제와 직결된 국방섬유 국산화가 전투복외에 전 피복류가 부지하세월로 지연되고 있어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국산화 전략이 시급한 것으로 촉구되고 있다.

특히 섬산련내에 3년전부터 발족 운영되고 있는 ‘국산소재 활성화 위원회’가 섬유업계의 절박한 기대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어 국방부와 기획재정부, 산업부 고위관계자와 제대로 소통하며 국산화 전략을 관철할 수 있도록 과감한 개편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관련 업계와 단체, 관계 당국에 따르면 연간 6800억 규모의 군 전략물품 피복류 예산중 3년전 겨우 7%에 불과한 전투복 부문 520억원 규모만 국산화가 이뤄졌을뿐 93%에 달한 군피복류 원단의 국산화가 한발짝도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

국방섬유는 군 전략물품으로 미국의 경우 화이버에서 원사, 제·편직 생지 원단, 염색가공, 봉제에 이르기까지 ‘메이드인 USA’가 아니면 절대 허용되지 않는 철저한 자국산 소재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는 것과 달리 한국은 원사와 제·편직 생지 원단, 염색과정까지 중국이나 인도네시아산을 허용하고 봉제만 국내 생산을 의무화하고 있다.

따라서 군 정복과 내의의류, 장구류 등 대부분의 국방섬유를 외국산으로 충당하고 있어 남북 대치상황에서 군 전략품목을 중국 등지의 외국산에 의존하는 허점을 드러내고 있는데도 이의 개선이 기약없이 지연되는 잘못된 모순이 보편화되고 있다.

3년전 군 피복류중 1차 전투복 부문이 국산소재로 바뀐 것은 당시 정세균 총리가 이같은 군 전략품목의 외국산 의존의 위험성을 직시하고 기획재정부로부터 70억원의 예산을 증액받아 국방부를 심하게 채근하면서 겨우 실현됐으나 그 이후 단 한건도 국산화가 이뤄지지 못한채 공허한 메아리만 맴돌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해당 부처의 무관심도 원인이 있지만 섬산련내에 면방과 화섬, 직물업계 대표로 구성된 ‘국산소재 활성화 위원회’(위원장 김준 방협회장)가 발족돼 국방섬유 국산화 전담기구로 활동하고 있으나 위원장을 비롯한 위원 누구도 결정권을 쥐고 있는 국방부 장·차관이나 방위사업청장을 직접 만나 담판을 짓지 못하고 섬산련 사무국 직원이 관련 부처 실무자들과 접촉하는 수준이어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특히 국방부 실무진 구성원의 특성상 잦은 보직 변경으로 진척이 안되고 있어 이 위원회가 결정권을 쥐고 있는 국방부 장·차관을 직접 만나 차고 넘치는 국방섬유 국산화 필요성과 당위성을 설득하는 과감한 전략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국방섬유 국산화를 위한 섬산련의 ‘국산소재 활성화 위원회’를 대정부 소통 능력이 있는 업계 중진들로 재구성해 이 문제를 기필코 성취할 수 있도록 용단을 내려야 할것으로 촉구되고 있다.

이미 신임 최병오 회장이 전면에서 이 문제에 적극 관심을 갖고 정치권 인사들에게 건의서를 직접 전달하는 등 노력을 강구하고 있지만 ‘국산소재 활성화 위원회’가 전열을 재정비해 체계적으로 당면한 국방섬유 국산화를 연내에 실현할 수 있도록 총력 경주해야 할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금 국내 섬유산업은 냄비속의 개구리 처지에서 생사가 위협받는 절박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어 국방섬유 국산화로 최소한의 안정된 일감을 확보하고 이어서 경찰복과 소방복의 국산화와 정부기관의 단체복까지 확대하면 조(兆) 단위 신규시장이 확보돼 섬유산업의 위기극복과 안정성장의 디딤돌이 될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국방섬유 국산화는 정부재정이 어려운 것과 무관하게 기존 예산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예산당국이나 국방부가 국가안보와 산업발전의 대의명분 앞에 거부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