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은 출발부터 달랐다.
대한민국은 생리대 파동이 있어야 유기농 생리대가 팔리고, 아토피 피부염이 심각해야 오가닉 코튼 제품이 잘팔린다.
기술표준원에서 국내 아동복과 장난감에 대한 전수검사를 벌일때만 발암물질과 PH지수가 뜨거운 감자가 되고 시간이 흐르면 또다시 같은 제품이 버젓이 시장에 나온다.
유럽과 일본 미주 등 선진국의 친환경 인증마크가 대중화되고 기업들이 앞다퉈 인증 부착에 앞장서고 있는 모습과 달리 국내에서는 유독 식품과 화장품, 생리대에 쏠린다.
국내 전문가들은 이러한 이유를 친환경 산업의 출발 자체가 달라서라고 분석한다.
즉 유럽 선진국의 기업과 소비자는 생산과 구매의 교집합이 ‘환경’이라는 목적에서 출발했다면, 대한민국의 친환경은 유기농 식품 즉 ‘나’의 건강과 직결되지 않으면 구매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친환경’이라는 인식 자체가 달랐기에 여전히 환경보다 나를 생각하는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우리네 현주소다.
지속적인 미세먼지와 쓰레기 대란 등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환경에 도움이 되는 물건을 구매하려는 분위기는 여전히 소극적이다.
우리 기업은 후진국에 머물러있다.
여전히 세계적인 섬유 수출 국가인 대한민국 섬유산업공화국에서 국제 인증 마크를 부착하는 우리 섬유 기업의 숫자는 물론 “굳이 유기농 섬유가 아니어도 잘 팔리는데 비싼 로얄티를 내가면서 왜 국제 인증을 받아야 하냐”는 한 아동복 기업주의 말이 이를 방증한다.
지구촌의 환경오염과 국내에서도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의식이 국내에서도 친환경 인증의 의무화를 통해 소비자의 권익보호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지만, 우리 기업들은 여전히 냉담하다.
이제 5년후인 2023년이면 대한민국은 국민 1인당 GDP가 4만불에 육박하는 세계 8위의 선진국 반열에 당당히 오를 전망이다. 일본과 영국에 이어 10위권 안에 드는 눈부신 성장이지만 정작 작금의 기업 윤리의식과 시민의식이 개발도상국 수준에 머무는 것은 아닌지 모두가 깊이 되새겨 봐야한다.

 

本紙 조정희 편집국 부국장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