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산업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온 생활산업이자 영원한 미래의 산업이며 첨단사업이다. 또한 섬유산업은 오늘날까지 우리 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 왔으며, 97년 이후 어려운 IMF 체제하에서도 단일산업으로는 유일하게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 흑자를 능가하는 무역흑자를 매년 기록함으로써 IMF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 30년 가까운 정부의 무관심과 국제 무역 환경의 급변으로 섬유산업은 점차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최근의 섬유산업을 둘러싼 환경을 보면 선진국들은 고도의 첨단기술과 디자인으로 경쟁력을 가일층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후발개도국들은 저임금을 바탕으로 생산기술을 향상시켜 우리 섬유산업을 빠르게 추격해오고 있는 실정이다.우리의 경쟁국인 일본의 경우 지난 67년부터 정부주도로 '특섬법'과 '신선유법'을 제정해 과잉설비폐기 등 섬유산업의 구조개선을 추진했다. 이러한 구조개선이 끝난 뒤에도 일본정부는 89년 '섬유공업구조 개선임시조치법'을 만들어 기술개발과 설비의 근대화 등을 지원했다.이 법이 만료되던 94년에는 또다시 '섬유산업구조 개선임시조치법'으로 명칭을 바꾸어 99년까지 한시적으로 섬유제품의 유통구조개선 등 섬유산업의 총체적인 구조개혁을 지원하고 있다.프랑스의 경우는 섬유산업의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주도로 섬유기금을 조성, 기술개발과 패션디자인 등 섬유산업의 첨단화를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우리 정부는 지난 80년 이후 97년 말까지 섬유산업의 노후시설개체자금명목 등으로 약 6천억원의 정책자금을 지원한 바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했으며 그나마도 업계의 실정을 제대로 반영치 못했기 때문에 섬유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한 채 오히려 대량생산체제로 인한 과다경쟁만 심화시킨 바 있다.또한 현정부가 98년부터 5년 동안 총 6800억원의 막대한 사업비를 투입해 추진하고 있는 밀라노프로젝트로 지역현실에 대한 깊은 고려 없이 정치적 고려에 의해 즉흥적으로 추진된 결과 많은 섬유산업 관계자들이 그 성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지난 80년 이후 우리나라 산업정책의 우선 순위에서 철저하게 배제되어 온 섬유산업을 희생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응책이 절실하다.즉 섬유산업의 틀을 바꾸는 구조조정이 무엇보다 선행돼야 한다. 구조조정없는 자금지원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일 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섬유산업의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한시적으로 이를 뒷받침할 법적·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다.이를 위해 우리 국회와 정부 그리고 업계, 학계가 함께 섬유산업구조조정 특별법의 제정에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 국회 섬유산업 발전연구회도 단순한 연구단체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미국의회의 섬유위원회와 같은 의회상설기구화해 명실상부한 섬유산업의 지원기구로 발돋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약력-·△서울대 사회학과 졸업 △한양대 행정대학원 졸업 △서울 구토관리청장 △(주)대우 해외담당총괄본부장 △민추협 건설특별위원회 위원장 △제12, 14, 16대 국회의원 △통일국민당 정책위원회의장 △신한국당 대구광역시지부 위원장 △국회사무총장 △한나라당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위원장 △국회 섬유산업발전연구회 회장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