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미 기준 금리 인상 동결 영향
수출 채산성 환율 인상으로 버틴 섬유업계 비상

사실상 환율로 버티고 있는 섬유수출업계가 하반기에 원·달러 환율이 하락세를 나타낼 것이란 전망에 크게 긴장하고 있다.

한국은행과 미국 중앙은행(Fed) 모두 더 이상 기준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란 기대가 시장에 확산된데다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 경기가 살아날 조짐이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눈덩이 적자인 무역수지 개선 가능성과 함께 올해 말 환율이 달러당 1250~1280원대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힘을 받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변동성이 많아 1350원대를 유지해야 수출 채산성을 겨우 맞추고 있는 대구산지와 경기북부산지는 이같이 하반기에 하락세가 예상되면서 겨우 환차익으로 버티고 있는 수출 채산성이 무너질 것으로 보고 고민에 빠졌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1월 2일 달러당 1272원60전을 시발로 한국의 수출회복 기대에 따라 한달만인 2월 2일 1220원30전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재개) 효과가 제한적인데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 금리 역전폭이 사상 최대인 1.75포인트로 벌어지면서 5월 2일엔 1342원10전까지 치솟는 변동성을 보여왔다.

그러나 한국과 미국의 기준 금리가 이미 정점을 찍고 당분간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미 기준금리 격차가 앞으로는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5월 25일 기준 금리를 연 3.5%로 동결했고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지난달 19일 “물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준 금리를 더많이 인상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며 동결을 시사했다.

이같은 일련의 움직임과 함께 10월부터는 무역수지가 흑자로 돌아설 수 있는 것으로 전망돼 4분기에는 평균 원·달러 환율이 1280원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비용 저효율 구조속에 수출 채산성 악화를 환차익으로 버티어온 대구·경기 섬유산지 수출업계는 원·달러 환율이 연내 1250원~1280원대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채산성 확보 방안이 막막해 벌써부터 비상이 걸렸다.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