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섬유 국산화 경찰· 소방복· 공공기관 단체복
-연 6천억 군 피복류, 경찰· 소방복 단체복 확대해야
-국방부 올해 전투복 시범사업, 내년부터 피복류 확대
-공공기관 단체복까지 국산소재 의무화되면 섬유판도 변화
-연 1兆 국산 소재 신규 시장 가능성서 계속
-군 전략물품 중국의존 언어도단, 섬유 산업 시장 창출 기대

국방부가 군 피복류에 국산소재 사용 확대를 위해 ‘군 피복류 개선 추진 계획’을 마련하여 내년부터 본격 시행할 것으로 보여져 국방 섬유 국산화가 일단 급물살의 청신호가 기대된다.

특히 군 피복류의 국산 소재 사용 확대에 맞춰 차제에 경찰복· 소방복은 물론 정부산하 공공기관의 단체복도 국산 소재 의무화와 연계시키는 적극적인 방안도 함께 마련돼야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군 전략물자인 피복류를 중국산에 의존하는 아주 위험하고 부끄러운 모순을 시정하여 미국처럼 모든 군 피복류의 화이버와 원사, 생지, 염색가공, 봉제에 이르기까지 ‘메이드 인 USA'로 통일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뒤늦게 정부관계부처에서 폭 넓게 공감대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는 연간 6000억 원대의 군 피복류(장구류 포합)의 원사와 생지 원단을 중국과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수입해 국내에서 염색 가공과 봉제만 거치면 자유롭게 채택할 수 있는 현행 제도의 모순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공급 업체들이 군 피복류를 원사와 생지를 중국산으로 거의 독점해 왔다.

만약 군 전략문자인 피복류를 유사시 원사와 생지 공급 국가에서 적기에 거절하거나 차질이 발생하면 안보상 큰 위기를 빚는 위험한 형태가 수 없이 본지에 보도되면서 국방부가 시행령을 고쳐 금년 예산에 520억 규모의 전투복에 한해 국산화 방침을 결정하고 첫 단계도 시범사업으로 채택돼 내년 3월까지 180만 벌 규모가 국산 소재로 공급될 전망이다.

국방부는 국산 소재 사용에 따른 연간 72억 원 규모를 올 예산에 증액 반영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투복을 제외한 많은 군 피복류는 아직도 생지와 원사를 중국 등지로부터 수입산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도가 버젓이 존재하고 있어 이를 미국처럼 생지, 원사부터 전면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으로 통일시켜야할 시급성을 안고 있다.

이는 국가 안보상 문제뿐 아니라 국산화를 통한 국내 산업 보호와 일자리 창출이란 필연적인 논리에도 부합되고 있어 이를 서둘러야 한다는 당위성이 제기되고 있다.

다행히 국방부가 지난 10월 발표한 ‘군 피복류 개선 추진 계획’에 국산 소재사용 확대, 품질과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피복 착용체계 개선 확대를 골자로 한 발전적인 내용을 발표하면서 관련 섬유단체장들이 이를 환영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군 피복류의 국산화 확대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여져 국가 안보는 물론 섬유산업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방섬유 국산화 문제는 2010년부터 섬유업계가 산업통상자원부와 국방부간 MOU를 적극 지원하는 등 노력을 경주해 왔으나 별다른 진전이 없었으며 2020년 5월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 ‘제2차 확대 무역 전략 조정회의’에서 ‘군복 등 공공수요를 통한 지역 원사, 원단 기업의 활로 확보’ 추진 과제가 채택됐다.

이에 따라 72억 원의 전투복 예산 증액과 ‘전투복 국산 소재 시범사업’이 시작됐고 산업부도 ‘국산 섬유소재 인증제도에 관한 운영 요령’을 제정 운영하기에 이르렀다.

또 전임 성기학 섬산련 회장 재임 시 섬유업계 대표가 중심이 돼 ‘국산 소재 활성화 위원회’를 운영하면서 현 이상운 회장 체제에서도 국방섬유 및 공공조달 부문에서 국산 소재 사용 확대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국방부가 기왕에 군 피복류 국산 소재 사용 확대 방침을 밝힌 것을 계기로 6000억 원 규모의 군 피복류 전반에 걸쳐 국산화시기를 과감히 앞당기도록 촉구하는 것은 물론 차제에 경찰복과 소방복의 국산 소재 사용 의무화도 동시다발로 채택되도록 적극적인 전략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산하공공기관 근무복 등도 국산 소재 사용을 병행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촉구되고 있다.

이 같은 국방섬유와 경찰, 소방복, 공공기관 근무복 또는 단체복의 국산 소재 의무화가 실현되면 연간 조(兆) 단위 신규 시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국내 섬유산업의 일감 확보와 일자리 창출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조>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