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100% 자국산 엄수, 한국 군복 원단 중국산

성 회장 주재 10인 추진위 첫 회의, 방위사업법 개정 전격 투구
유사시 군 전력 차질, 국내 산업 일자리 날아가 “이대로 안 된다”
면방, 화섬 최고 경영진, 1차 국회 설득 역할 분담 구체안 마련

<속보> 중구난방 백가쟁명의 국방섬유 국산화 논의에 급기야 마침표를 찍고 길을 찾았다.

성기학 섬유산업연합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방섬유 국산화 추진위원 10명이 지난 9일 서울 명동 세종호텔에서 상견례를 겸한 첫 회의를 갖고 “대한민국 군복 원단을 중국산에 의존할 수 없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방섬유 국산화를 위해 해당 업종인 면방과 화섬 업계 대표가 TF팀을 발족해 총력 대응하자는데 전원일치 합의를 봤다.

현행 방위사업법의 맹점으로 인해 대한민국 군인이 입는 전투복마저 원산지와 무관하게 중국산 또는 인도네시아산 생지를 들여와 국내에서 염색 봉제하면 군납이 허용되는 문제점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전제, 10명의 위원이 개정 방위사업법 입법 과정에 구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해 빠른 시일 내에 이를 관철하자는데 의견 일치를 보았다.

이날 회의에서는 군 전투복에 국한해 그나마 생지를 수입해 국내에서 염색 봉제 공정을 제한하고 있을 뿐 전투복이 아닌 일반 군복은 이런 규정도 적용하지 않아 사실상 대한민국 군인이 입는 군복 원단 전반을 중국산 등에 의존하는 위험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연간 6,000억 원 규모(장구류 포함)의 군복 예산 중 전투복 부문은 1,000억 원 미만이어서 군복의 상당 부문을 중국산 등에 의존하는 것은 유사시 군 전력에 막대한 차질을 주는 것은 물론 국내 연관 산업의 일자리에도 큰 타격을 안겨주고 있다.

군복의 원산지를 원사나 화이버에서부터 적용해 국산화가 실현되면 연간 6,000억 원 규모의 군복류뿐 아니라 나아가 경찰복과 소방복, 공공기관 유니폼, 작업복 등의 국산화 확대가 가능하며 이 경우 조(兆) 단위 규모의 시장이 형성돼 일감 부족에 시달리는 국내 섬유 관련 산업의 기사회생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특히 이날 면방과 화섬 업계 최고 경영진을 중심으로 구성된 국방섬유 국산화 추진 위원들은 이 같은 군 전력 차질 방지와 국내 산업 발전을 빠른 시일 내에 달성하기 위해 우선 현행 느슨한 방위사업법을 개정해 입법화하는 방안에 최우선 역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무엇보다 소관 상임위원회인 국방위원을 상대로 10명의 추진위원들이 국방위원을 상대로 현상의 모순과 문제점을 조목조목 설명하는 기회를 갖기로 했으며 무엇보다 군복과 전략 문자 전체를 ‘메이드 인 USA’로 통일하는 미국 정책을 도입하도록 만전을 기해 나가기로 했다.

또 우리 내부적으로 국방섬유를 공급하는 면방, 화섬 업체들은 앞으로 어떤 경우이든 입찰 과정에서 내정가의 50% 밑으로 덤핑 응찰하는 과당 경쟁을 철저히 지양해 나갈 것도 아울러 다짐하면서 정상적인 가격에 정상적인 군복을 공급하기로 결의했다.

국방섬유 국산화 추진위원회는 위원장에 성기학 회장을, 간사는 정동창 섬산련 상근부회장이 맡아 모든 준비작업과 실무 방안을 섬산련이 맡아 위원들에게 제시하고 10인 위원회가 과거와 같은 백가쟁명의식 논의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실천 작업을 전거하기로 굳게 다짐했다.

이날 첫 모임을 갖고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협의한 국방섬유 국산화 추진 10인 위원 명단을 다음과 같다. <조>

◇위원장 △성기학 섬산련 회장
◇위원(면방) △일신방직㈜ △전방㈜ △삼일방직㈜ △대한방직㈜
◇위원(화섬) △효성티앤씨㈜ △㈜휴비스 △태광산업㈜ △티에이케이텍스타일㈜ ※각사 대표이사
◇간사 △정동창 섬산련 상근부회장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