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기업 80%, 온ㆍ오프라인 매장 동시 운영
시장 세분화…개성있는 콘텐츠 강화 앞다퉈

中 패션 시장에서 온라인 중심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KOTRA에서 제공한 중국 전자상거래연구센터 통계에 따르면, 2014년 중국 온라인 패션시장 거래 규모는 6153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41.5%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전자상거래 중 22.1% 를 차지한 것이다.2015년 거래 규모는 전년대비 21.2% 증가한 7457억 위안에 달했으며, 2016년에는 9343억 위안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의류 쇼핑 시 오프라인에 비해 온라인 구매 선호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KOTRA 난징무역관 관계자는 “중국 온라인 패션 업계는 이미 성숙기에 진입했으며, 이에 따라 패션 기업들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판매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보급으로 점점 더 많은 패션 기업들이 온라인 전자상거래로 진입하고 있고, 어떠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진입해 더 좋은 결과를 낳느냐는 등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특히 상장된 중국 의류기업 중 80% 이상이 모두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장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이 기존 패션 업계의 구조를 전환시키고 있다.2015년 이후 온라인 거래액은 이미 전체 패션 업계 매출액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만큼 모바일을 통한 매출액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웨이디엔’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SNS 전자상거래 플랫폼 역시 각광을 받고 있다.
난징무역관 관계자는 “중국 패션업계는 ‘크고 방대한’ 시대는 이미 지나갔고,고객 타깃에 초점을 맞춰 시장이 세분화되며, 상품의 생산 방향을 고도의 개성화에 맞춰 전면적으로 재구성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시장환경 속에서 빅데이터는 기존의 폐쇄적인 제조 시스템을 대신해 각 지역시장의 실제 차이에 대해 상세히 알려주고, 지역에 맞게 상품을 공급하는 등 정확하게 소비자의 요구를 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타오바오 브랜드의 매출은 증가 양상이나 수익률은 해마다 둔화되고 있다. 패션 업계가 전반적으로 침체된 가운데 소비자 선택에 있어 ‘가성비’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08년 타오바오 입점 브랜드인 ‘한두이서’는 직원 40명, 연 매출액 300만 위안에서 시작해 2014년 직원 2600명에 연 매출 15억 위안으로 성장했으며, 2014년과 2015년 영업수익은 각각 8억3100만 위안, 12억6000만 위안이었다.
한류 패션 전문 쇼핑몰 ‘한두이서’는 2001년 타오바오상에서 한국 패션의류를 파는 구매대행 쇼핑몰이었으나, 2008년부터 자체 브랜드를 시작해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매출액 500배 증가, 이미 연 매출액 300만 위안의 소기업에서 16억 위안의 쇼핑몰 다크호스로 변신했다. 기존 업계에서는 한 가지 제품의 디자인부터 매장 런칭까지 6~9개월이 필요했으나, HSTYLE에서는 매일 새로 론칭하는 제품이 70~80가지에 달하고 있다.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