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군복 원단 중국산 의존 이젠 끝내자!

성 위원장, 노 회장 등 추진 위원 10명 9일 첫 회의 개최
21대 국회 개원 따라 현행 방위사업 개정 입법 본격 추진
군 피복류 구매 연 6천억, 경찰복 · 소방복 · 공기업 유니폼 파급 기대

국방 섬유 국산화를 위한 근본적인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섬유 업계의 자구 노력이 본궤도에 진입하고 있다.

성기학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의 진두지휘로 급물살을 타고 있는 국방 섬유 국산화를 위한 10인 추진위원회가 발족된 가운데 그 첫 모임이 오는 9일 낮 서울 세종호텔에서 열려 국방 섬유 국산화 쟁취를 위한 거보를 내딛게 된다.

섬산련은 성기학 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방 섬유 국산화 추진 위원으로 노희찬 회장을 비롯한 면방, 화섬 업계 중진 10명으로 구성된 핵심 위원을 확정하고 앞으로 빠른 시일 내에 법적, 제도적으로 국방 섬유에 관한 한 국산 소재 사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에 총력을 경주해 성취해나갈 방침이다.

이 위원회는 면방 업계에서 일신방, 전방, 삼일방, 대한방과 화섬 업계에서 효성, 휴비스, 태광산업 및 티에이케이텍스타일 대표가 참여하고 있다.

군 전략물자인 군복류를 중국산 생지에 의존하는 위험한 현행 제도를 진즉 바로잡아 미국처럼 100% 자국산 소재 사용을 의무화시키는 것이 전략물자 안정 공급과 국내 산업 보호 차원에서 시급한 당면 과제임에도 그동안 제도의 맹점과 담당 정부 관리들의 무성의로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어 국방 섬유 국산화야말로 필연적인 논리이고 시급한 대한이란데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국방 섬유에 관한 한 화이버에서 원사, 직물 원단, 봉제에 이르기까지 전 공정 ‘메이드 인 USA’를 채택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 방위사업법에는 원사와 원단 생지를 국산화 규정을 두지 않고 염색, 봉제 공정만 국내에서 이루어지면 채택할 수 있는 모순된 제도를 지금까지 운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순 입찰 가격에 근거에 원사나 생지 원단의 원산지는 제쳐두고 염색 봉제만 국산화를 의무화하고 있어 이를 납품하는 업체들이 중국산 또는 인도네시아산 생지를 들여와 염색 봉제 공급하는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유사시 중국 등지에서 이런저런 이유를 내세워 생지 공급을 기피하거나 납기를 늦출 경우 군 전략물자 조달에 막중한 차질이 우려되고 있어 이를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이와 관련 성기학 섬산련 회장이 군 전략물자 공급 체계에 위험요소가 있는 군복류의 국산화를 위해서 임기 중 어떤 일이 있어도 제도적 개선 방안을 마무리 짓겠다는 강한 의욕을 갖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총력 대응 방침을 여러 차례 천명하고 있다.

따라서 오는 9일 열릴 10인 추진위원회의 상견례를 겸한 대책 회의에서 21대 국회 개원에 따라 국방위원회 위원을 비롯 여·야 원내 사령탑들과 긴밀히 협력해 입법화 방안을 다각적으로 강구하게 될 것으로 보여진다.

또 입법 작업뿐 아니라 납품처인 조달청과 중소기업제품 조달청 납품 관련 행정을 담당하는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련 부처장들을 직접 만나거나 초청해 현안을 설명하고 행정부 차원에서도 국방 섬유 국산화에 적극 나서줄 것을 설득할 방침이다.

국방 섬유 국산화 문제는 군 피복류와 장구류를 포함, 연간 조달 예산이 약 6,000억 원 규모로 전해지고 있지만 장차 국방 섬유뿐 아니라 경찰복과 소방복, 나아가 공기업 유니폼까지 국산화를 의무할 경우 공급 안정은 물론 국내 산업 발전에도 많은 파급 효과가 발생해 섬유산업의 일감 부족 해소에 획기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조>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