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 비슷하고 가격 싸고 다양…보따리상 몰려
한국 퀵 딜리버리ㆍ디테일 강점 모조리 배껴

“동대문 시장을 찾던 중국이나 국내 보따리 상인들이 모두 중국 광저우 시장으로 옮겨 갔나 봐요.”

최근 동대문 시장에 일부 여행객 외의 중국 보따리상의 방문이 줄면서 이와 비슷한 모습을 띠고 있는 광저우 사하시장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동대문 시장의 제품은 퀵 딜리버리와 디테일이 강점이라고 말해 왔지만 이제는 규모가 엄청나게 큰 광저우 시장의 제품이 싸고 다양하고 품질도 향상이 됐다고 알려지면서 국내외 고객들이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광저우 시장이 동대문 시장을 벤치마킹해 시스템도 닮아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ㆍ여성복, 신발, 가방, 액세서리 등 다양한 제품을 구비한 쇼핑몰 apM도 있고 유어스도 들어섰다. 하다못해 ‘동대문’이라는 이름을 단 김밥집도 있다고 한다. 일부 국내 무역 업체들은 광저우 시장에서 의류 제품을 사입해 동대문 시장으로 들여 오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이는 국내 내수 기반의 섬유 기업들에게도 영향이 미치고 있다. 다양한 소재 개발로 명성을 날리던 원단ㆍ봉제 업체들은 물론 내수 의류용 원단 염색이나 가먼트 다잉을 전문으로 하는 염색 업체들마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동대문 기반으로 중국 수출을 전문으로 하는 중소 트레이딩 업체들도 개점휴업 상태인 것이다. 이에 광저우에서 열리는 섬유패션 전시회가 국내 업체들로부터 덩달아 각광을 받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이런 일은 이미 오래 전에 예상이 됐던 것이다. 동대문 패션 시장의 명성이 시들고 스피드를 생명으로 하던 국내 기업들이 경기 부진에 따라 R&D 투자가 줄면서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완전히 밀리고 있다”면서 “업체 스스로 자구책을 찾아야겠지만 정부, 지자체, 단체들이 모여 전문가 풀을 내세워 광저우 시장을 면밀히 분석해  ‘메이드 인 코리아’ 동대문 패션 시장의 장점을 살리고 이를 중심으로 움직이던 국내 섬유ㆍ의류패션 기업들의 새로운 활로를 찾아주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환 기자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