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에스테르사>

-화섬메이커, 파운드당 50원씩 연속 인상 강행
-PTA 값 뛰고 중국 가격 급등 영향 누적적자 한계
-직물업계, 불황 절정 원사값 인상 불구 비축 외면

 

<속보> 혹독한 불황 속에 화섬사값 인상이 강행된다.
PTA와 MEG 등 원료값 인상과 함께 중국 가격이 중단 없이 뛰고 있어 국산 화섬사값 인상을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섬사값 인상이 기정사실화됐는데도 수출· 내수경기가 동반 추락해 심각한 불황을 겪고 있는 니트 직물업계와 화섬 직물업계가 예년과 달리 가격 인상 전 원사 비축을 거부한 채 이를 지켜보고 있는 이례적인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그만큼 수요자인 니트 직물과 화섬 직물업계가 처한 고통이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증거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화섬메이커들은 PTA 가격이 국제유가 인상 여파로 한 달 사이 100달러 이상씩 뛰면서 9· 10월에도 계속 강세 기조를 보이고 있어 원료값 인상으로 인한 누적적자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사실상 국내 원사 가격과 연동돼 있는 중국의 폴리에스테르사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 기조를 유지하면서 품목에 따라 7월 말 기준 한 달 새 kg당 25센트까지 뛴 데다 9월에도 계속 상승곡선이 예상돼 원사가격 현실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 8월에 메이커별로 파운드당 30원을 인상하려다 여의치 않자 이를 백지화하고 9월과 10월 2개월에 매월 파운드당 50원씩 100원 인상방침을 재확인하고 각 거래 선에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섬 메이커들은 수요자인 니트 직물과 화섬· 교직물업계가 7· 8월 정례 비수기와 함께 9월에도 회복 기미가 없어 최악의 불황에 신음하고 있는데도 원사값 인상을 강행키로 한 것은 “적자 규모가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변하고 있다.
특히 이같은 원사값 인상 강행 방침이 기정사실화됐는데도 수요업계인 직물업계는 원사값 인상에 대비해 과거와 같은 비축 움직임이 보이지 않은 채 “닥치는 대로 대응해 나가겠다”는 체념적인 분위기가 만연되고 있어 시장 상황이 어느 정도 심각한지를 가늠케 하고 있다.
한편 국산 폴리에스테르사 가격과 연동되고 있는 중국 화섬업계는 올 하반기 들어 지속적으로 원사값을 인상하고 있는 가운데 이는 중국의 내수 경기가 한국과 달리 활황을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조>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