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시너지 효과… 정부지원 로드맵 제시가 먼저다”
-의산협· 패션협· 섬수조· 소재협· 대구 연구소 통합 대상
-산업부 물밑 통합 작업 본격화, 단체 간 찬반 이견 심각
-업무· 회원사 중복개선 총론 공감, 필요성· 시급성은 회의적
-섬수조· 패션소재협 회원사 상당수 중복 통합 공감
-정부 강제성 어려워 자율 통합까지 험로 예상

 

산업통상자원부가 일부 특정 섬유 단체와 연구소에 대한 통합 작업을 물밑에서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단체의 반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 데다 단체의 자발적인 통합의지가 보이지 않을 경우 강제성을 발휘할 수 없어 많은 난관이 예상되고 있다.

이는 사단법인 민간단체이거나 재단법인 연구소를 구성하는 이사진과 회원사의 통합 필요성이 아직 절실하지 못하고 보유 자산 규모에 대한 1대 1 또는 흡수통합절차가 시간이 걸린 데다 해산총회 과정에서 반대파의 목소리가 클 경우 강하게 밀어붙일 동력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정 단체의 통합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주무 부처가 통합으로 인한 시너지효과와 육성정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로드맵을 명시해 해당 단체 이사진들과 회원사의 폭넓은 이해를 구하는 것이 선결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면 칼럼 참조>

관련 단체와 업계에 따르면 산업부는 분산돼있는 섬유 단체와 섬유기술연구소의 업무 중복성을 피하고 효율적인 사업 추진과 중복 돼 있는 회원사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먼저 섬기력 사업을 수행하는 사단법인 섬유· 패션단체와 재단법인 섬유기술연구소를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부가 시도하고 있는 통폐합 대상단체는 한국의류산업협회와 한국패션협회, 한국섬유수출입조합과 한국패션소재협회이며 대구 소재 재단법인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다이텍연구원 등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부 주무 당국자가 이들 단체 회장들을 두루 만나 통합의 필요성을 이미 강조한 것으로 알려져 물밑에서 통합작업이 본격 진행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다만 방식은 단체 자율적으로 수행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중 의류산업협회와 패션협회는 의류패션산업이란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어 분산된 업무를 선택과 집중을 통해 효율적으로 육성 발전시킬 필요성을 갖고 있고 의류산업협회와 패션협회 회원사의 중복으로 한 업계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한 포석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사단법인인 양단체는 제조업 중심의 의류산업발전과 패션디자인산업 발전이란 설립 목적이 다른 데다 업무 중복성이 별로 없고 회비를 납부하지 않는 준회원을 포함 630개사에 달한 의류산업협회 회원사와 390개 패션협회 회원사의 중복가입이 불과 40개사에 불과해 중복가입으로 인한 업계의 부담은 별로 없다는 것이 양단체의 견해다.

그러나 의류패션산업 발전의 선택과 집중을 위한 통합을 위해서는 이에 따른 중장기 육성지원 로드맵이 먼저 강조돼야 통합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양단체의 이사진과 회원사의 동의가 수월할 것으로 보여진다.

단체 통합으로 인한 시너지효과의 가시적인 로드맵이 없을 경우 회원사의 거부감 또한 배제할 수 없어 먼저 주무 부처가 필요성과 당위성에 따른 선택과 집중의 지원육성 로드맵을 선제적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다만 섬유수출입조합과 패션소재협회의 경우 우선 회원사의 중복 가입이 의산협와 패션협회보다 훨씬 많은 데다 전시사업 등이 중복되고 있어 통합에 따른 컨센서스를 이루는데 수월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다만 양단체가 산업부의 섬기력사업 못지않게 중소벤처부로부터 전시예산을 지원받고 있어 1개 단체당 4개 전시회 이내로 지원범위를 못 박고 있는 중소벤처부의 방침에 따라 8개 전시회 지원을 받는 패션소재협회의 해외 전시회 지원이 반감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럼에도 섬수조와 패션소재협회 회원사들은 오래전부터 업무 성격이 비슷한 양단체의 통합 필요성을 비교적 폭넓게 공감했다는 점에서 별 무리 없이 통합절차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대구의 섬유개발연구원과 다이텍의 통합은 이미 오래전부터 추진돼오다 중단된 사례가 반복돼온 가운데 자체 자산이 없는 섬개연과 자산이 있는 다이텍간에 이사진들의 이견이 있어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이들 연구소는 중앙정부 예산지원보다 대구시와 경상북도 지원예산이 많아 산업부의 입김이 제대로 먹혀 들어가기 어렵고 노조가 있는 섬개연과 노조가 없는 다이텍 이사진간에 통합 찬반 의견이 대립되고 있는 것도 풀어야 할 과제다.

다만 섬개연 이사와 다이텍 이사진은 3분의 1이 양단체 이사를 겸직하고 있어 먼저 양단체의 통합 이사회 운영부터 시작하는 것이 통합으로 가는 과정이 될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따라서 산업부가 시도하고 있는 일부 섬유 단체와 섬유 연구소 통합의 대원칙은 유사단체의 업무 중복성으로 인한 비효율을 선택과 집중으로 개선시킨다는 대전제와 중복가입으로 인한 회원사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명제에는 부합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대1 통합이나 흡수 통합을 둘러싼 단체 간의 첨예한 대립과 이로 인한 인력 구조조정이 뒤따를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어 정부가 통합의 시너지효과를 겨냥해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육성 로드맵을 제시하지 못하면 6년 전에 통합을 시도하다 막판에 물 건너간 과거의 사례를 답습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우려된다.

통합으로 인한 가시적인 시너지효과가 보이지 않는 한 오랜 역사 속에 현재도 비교적 안정 운영되고 있는 핵심단체를 굳이 들쑤셔 판을 새로 짜야 할 필요성을 회원사나 핵심 이사진들이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조>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