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印, 베트남산 DTY 일반사 이어 특수사까지 수입 폭증
중소가연업계 전멸 위기, 화섬 메이커도 피해 확산
반덤핑제소 불가피, 세이프가드 발동은 가능성 희박

 

<속보> 홍수를 이루는 수입 DTY에 대한 반덤핑제소를 둘러싼 중소가연업계와 일부 화섬업체 간에 막바지 물밀 조율이 진행된 가운데 빠르면 이번 주에 반덤핑제소에 따른 본격 준비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본지 9월 25일자 3면 톱기사 참조>
특히 수입 DTY로 인해 국내 관련 산업이 급격히 초토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가연업계가 정부에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발동까지 건의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이는 자칫 상대국의 보복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과 인도, 베트남산 DTY 수입이 갈수록 홍수를 이뤄 국내 가연 산업이 초토화되고 있는 가운데 피해 당사자인 중소가연업계뿐 아니라 DTY용 가연 설비를 운영하고 있는 TK케미칼과 성안합섬 등 일부 화섬 메이커들도 가연 설비를 극소수만 가동할 뿐 생산을 거의 기피하고 있다.
이들 양사뿐 아니라 수입 DTY가 종전 일반사 중심에서 최근 풀달과 카치온, 하이멀티 같은 특수사까지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어 이 부문 전문 메이커인 타화섬업체에 까지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중소가연업계 모임인 신합섬가공사협의회(회장 박윤수)와 TK케미칼 김해규 사장, 성안합섬 박상원 사장이 “이대로 가면 국내 가연산업은 전멸 위기에 몰릴 수밖에 없다”는 절박한 실상에 공감하고 그동안 양업계간 견해차로 미뤄오던 반덤핑제소를 실행하자는데 원칙적인 합의를 봤다.
다만 반덤핑제소에 따른 회계사 선임 비용 조달 방안과 POY 포함 여부에 대한 우려 등이 제기됐으나 POY 포함 여부는 화섬업체에서 공식· 비공식적으로 제기한 일이 없어 장애 요인이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비용조달방안을 놓고 협의를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중소 가연업계는 봇물을 이루는 DTY 수입이 반덤핑제소로 주춤해질 경우 국내 화섬업계에서 생산되는 POY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으며 더욱이 풀달과 카치온, 하이멀티 DTY가 갈수록 대량 수입되고 있어 일반사 수입일 때는 피해를 모르던 다른 화섬업체들의 피해가 증가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도 반덤핑제소에 동참해줄 것을 적극 요청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형태이건 홍수를 이루는 중국, 인도, 베트남산 DTY에 대한 반덤핑제소는 금주 또는 다음 주 중에 중소가연업계와 일부 화섬업계의 의견 조율로 가부간 결정 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한편 수입 DTY로 인해 직격탄을 맞아 국내 산업이 초토화 위기를 맞고 있는 중소가연업계는 정부에 긴급 세이프가드 발동까지 건의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정부가 이를 수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세이프가드 발동이 이뤄지면 고율관세 또는 규제를 취할 수 있으나 발동 요건이 단순한 수출국 내수 가격과 수출 가격 차이의 불공정 거래를 제소한 반덤핑과는 달리 공정거래로 인한 산업피해를 입증하기 위한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제시하는 까다로운 절차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또 세이프가드를 발동하면 과거 중국과의 마늘 사례처럼 보상을 하거나 아니면 보복을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해 정부 입장에서 함부로 특정품목에 대한 세이프가드 발동을 사실상 억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DTY에 이를 적용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조>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