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료수급·슬러지처리·시설개체 등
한미FTA 발효전 기업환경 개선시급

국내 염색가공업계가 예기치 않은 중국산 염료의 수급불안과 해양투기 금지에 따른 슬러지 처리비용 증가 등으로 경영환경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또 대구 염색공단이 추진하고 있는 섬유 페기물 전용 소각장 건립사업도 주민들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다.
최근 염색업계는 염료 공급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분산염료의 경우 85%의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산이 Kg당 1∼2달러로 스위스나 독일산이 4∼7달러대인 점을 감안할 때 매우 저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최근 중국 정부가 내년으로 예정된 베이징 올림픽을 겨냥해 환경오염 업종에 대한 규제강화로 생산량을 대폭 줄이며 전체적인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장기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에서는 염색 폐기물을 서해안에 방류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런던협약에 따라 2012년부터는 전면 해양투기를 금지하기로 되어있어 점차 염색가공업체의 부대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도 경쟁력 약화의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대구 염색공단이 오는 10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섬유폐기물 전용소각장 건립사업도 주민들 반발로 5월중순으로 예정된 착공이 3개월간 중단키로 돼 귀추가 주목된다. 만약 이 사업이 중단되면 소각장 건립으로 톤당 10만∼20만원으로 낮아질 것으로 기대했던 공단 입주 120여개 섬유업체들은 현재 40만원 수준인 폐기물 처리비용을 감내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지난 2월부터 시위생매립장 반입을 금지한 대구시도 난처한 입장에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염색 가공업계는 경기부진으로 2000년 이후 임가공료의 동결로 수익이 악화되며 문을 닫은 업체가 늘어나며 투자가 전면 중단된 가운데 일부에서는 최근 중고기계를 들여와 시설을 늘리고 있으나 신규설비 개체에도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관련기관에 따르면 국내 업체의 가공설비가 노후화 되어 신규 증설이 활발해 대규모 시설을 구비한 중국에 비해 매우 열악한 실정으로 설비현대화가 시급한 당면과제로 한미FTA 발효에 따른 효과 극대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시설 개체를 위한 특단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업체가 주로 이용하고 있는 시설개체자금은 연리 4.75%에 3년 거치 5년 분할상환 조건으로 현재의 업체의 열악한 실정으로는 활용에 어려움이 있어 연리 2∼3%의 5년 거치 10년 분할 상환 등 개선된 조건의 장기저리 정책자금 지원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섬유업계에서는 가공부문의 인프라가 열악한 것이 직물 품질 개선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한미FTA가 발효되기 전에 적합한 개선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