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한 시장잠재력을 갖고 있는 중국에 대한 국내 의류 및 패션업계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국 의류시장의 동향 및 특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최근 '중국 의류시장 조사 보고서'란 책자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중국 국영조사 기관에서 조사한 자료를 입수해 요약한 자료로 중국 의류산업의 현황과 복종별 상품시장분석, 수출입 분석에서 유통구조, 의류시장 수요분석, 국가별 경쟁구조 분석에 이르기까지 중국 의류산업에 관련된 내용을 총망라 수록하고 있다. 보고서 내용 중 주요 내용을 발췌했다. 1. 중국 의류산업 주요 복종별 시장 분석 ※ 2002년 중국 유통 채널별 의류시장 규모 (단위 : 억위안, %){{{{전체}}{{백화점}}{{상품거래소}}{{전문점 및 대리점}}{{대형소핑몰}}{{기타}}{{2,800(100.0)}}{{700(25.0)}}{{800(28.6)}}{{200(7.1)}}{{100(3.6)}}{{1,000(35.7)}}}} 자료 : 중국 전국 비즈니스 정보센터 2002년 중국 의류시장 규모는 대략 2,800억위안으로 이중 도시지역이 2,000억위안, 농촌지역 시장이 800억위안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유통채널은 1억위안 이상의 상품거래 시장, 대형 백화점(도시 시장의 35%, 전체 비중의 25%), 전문점 및 대리점 순으로 의류의 주요 유통채널을 담당하고 있다. 2002년 중국 의류시장의 특징은 남성복이나 여성복, 기성복이나 아동복 등 전복종에서 소재에 상관없이 모두 캐주얼 바람과 건강한 친환경 소비 "웰빙" 및 브랜드 개념이 점점 강화되면서 의류도 브랜드 소비시대로 가고 있다는 점이다.중국에서 고급제품과 명품의류를 찾는 소비자들은 도시인구의 0.6%이고 중간대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층은 도시인구의 70% 75%, 농촌인구의 26%인 것으로 추정된다. ▲남성복 1903년 중국 최초의 양복이 탄생한 이래, 중국 남성복 시장의 10대 브랜드가 중국 전체 시장의 50%를 점유하고 있으며, 3대 브랜드는 영거, 샨샨, 뤄몽 등이며 영거는 시장점유율이 10%를 넘어섰다. ▲여성복2002년 중국의 주요 대형 상점의 통계 수치는 여성복 판매량이 전체 의류 판매에서 26%, 판매액이 35%를 차지했으나, 과다경쟁에 따른 업체들의 할인정책으로 어려움이 컸다. 여성복 시장의 상위 10위권 업체의 시장 점유율은 2000년 12.3%, 2001년 14.5%, 2002년 15.1%로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현재의 수준은 브랜드 수립 단계에서 브랜드 구매 단계로 이행중이며 앞으로 5 6년 후 즉 2008년 이후에는 브랜드 그룹화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아동복중국의 16세 이하 아동과 청소년은 약 3억 2천만명으로(도시: 약 1억명, 농촌 약 2억명) 매년 1,000만 정도의 신생아가 출생하고 있다. 중국의 아동복 업체는 대략 4,000개이고 브랜드는 200개로 약 500억 위안 시장으로 추정되며 매년 10%이상의 고성장이 예상된다.전국의 주요 대형 소매점에서 판매된 아동복 제품의 브랜드 조사에 따르면 시장점유율 10위권내 업체의 시장점유율은 45%정도며, 절반 이상이 해외브랜드 업체와 합자기업으로 구성되었다. 최근 가계수입 향상에 따른 도시 중산층 증가와 현재 결혼 적령기에 이른 신세대 가정의 증가로 아동복 시장에 새로운 소비 계층의 출현으로 아동복시장은 한층 높은 발전 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특히, 과거 기본적 수요 만족형에서 유행과 디자인을 추구하며 브랜드화, 유행화로의 전환이 이행되고 있어 향후 중국에서의 아동복 시장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의현재 중국의 내의 업체는 대부분 중저가 제품을 취급하고 있으며, 향후 10년 동안 20% 이상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중국 속옷 소비자층은 도시 여성이 주류를 이루고 비율은 약 60%이며, 연령대는 15세에서 44세로 구매할 수 있는 인구는 2억명으로 추정된다. 중국 내의업체의 발전 역사는 매우 짧아 생산에 따라 판매를 결정하는 초보적인 단계의 경영모델방식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다운 자켓중국은 세계 최대의 다운자켓 생산국가이자 수출국가로 세계 다운자켓 의류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100만위안 이상의 규모를 갖춘 기업도 1,600개로 심각한 공급 초과현상을 일으켜 일부 대형업체들은 재고가 쌓이고 소규모 업체들은 잇달아 도산했다.현재 중국의 10여개 브랜드 업체의 판매량은 전체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고 이 "브랜드 효과"는 계속 확산되고 있다.▲레저복 중국 레저복은 1992년 지오다노가 광조우에 처음 선보인 이후 진즈 웨스트와 바오스롱 등의 캐주얼 브랜드 업체가 홍콩에서 광조우까지 진출하여 중국 전역을 석권하기 시작했다. 통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전문 레저복 생산지역은 주로 광동, 푸지엔, 저쟝, 쟝수, 산동 등으로 점차 중국 의류 산업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해 나가고 있으며, 전체 내수 의류시장에서의 비중도 18%를 점유한 것으로 추정되며 주 소비층은 20세에서 40세까지의 청년과 중년층으로 비중은 50%이상이며 생활의 편안함과 개성을 추구하는 계층으로 평가했다.2. 2002년도 중국 의류산업 수출 분석▲중국 의류수출 현황 (단위 : 억벌, 억 달러) {{}}중국 세관통계에 따르면 2002년 중국 의류수출량은 146.55억벌로 지난해 동기대비17.2%증가했고, 수출액은 329.4억달러로 지난해 동기대비 11.8% 상승했으며 평균단가는 한벌당 2.25달러로 금액 성장보다 수량 성장이 높아 평균 단가는 4.6% 감소했다.▲중국 의류 수출평균 단가{{}}중국 의류수출 평균단가를('97∼'02년) 분석해보면 평균단가가 매년 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2년 의류수출 평균단가는 매 벌당 2.25달러로 동기대비 4.67% 하락되었는데, 이는 중국 의류시장이 공급과잉 국면에 들어섰고, 의류기업들이 직접 시장경쟁에 뛰어들면서 중국 의류기업들의 국내외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중국 의류수출 무역방식(1997년∼2002년)또한 중국 의류수출방식은 과거 단순히 외국기업을 위해 소액의 가공비만을 챙기던 가공무역 위주에서 해외기업의 투자 및 국내 기업의 구조조정을 통한 합리화 등으로 기업의 이윤을 높이는 일반무역으로 대체되고 있다.▲중국의 주요국별 의류 수출액(2002년){{{{순위}}{{국가}}{{수량(만개)}}{{금액(만불)}}{{단가(달러)}}{{수량(동기대비)}}{{금액(동기대비)}}{{단가(동기대비)}}{{1}}{{일본}}{{264,548}}{{970,343}}{{3.67}}{{-2.9}}{{-6.45}}{{-3.67}}{{2}}{{홍콩}}{{453,124}}{{613,811}}{{1.35}}{{30.87}}{{22.79}}{{-6.25}}{{3}}{{미국}}{{77,389}}{{327,575}}{{4.23}}{{15.1}}{{3.27}}{{-10.8}}{{4}}{{한국}}{{67,199}}{{205,903}}{{3.06}}{{50.81}}{{39.85}}{{-7.27}}{{5}}{{호주}}{{53,750}}{{88,780}}{{1.65}}{{13.54}}{{12.62}}{{-1.2}}}} 자료 : 중국 세관주요 의류수출 국가를 살펴보면 일본(29.46%), 홍콩(18.63%), 미국(9.94%), 한국(6.25%), 호주(2.70%)로 전체 의류수출의 66.98%를 차지 했고, 의류수출이 가장 많은 성 및 도시 상위 5위는 광동성(24%), 절강성(16%), 상해시(15%), 강소성(15%), 산동성(7%)로 전체의류수출의 77%를 차지하고 있다.▲ 5대 도시 소비자의 소비습관 및 취향 분석 홍콩 무역발전국이 2002년 3월 발표한 중국 의류 소비 패턴에 관한 조사(부록2참고)는 홍콩업체들은 중국의 중가 의류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것과 할인 정책으로 소비자들을 끌어들이는 방법을 고려할 것을 권했다. 홍콩무역발전국은 홍콩업체들에게 중국의 의류업계 또한 중국 소비시장 성장을 상당부분 이해, 참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번 조사는 2001년 연말 북경, 성도(成都), 대련, 광주 및 상해 이상 5개 도시에서 1대1 방문 조사 형식으로 1000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목표집단은 18~25세 화이트칼라 여성, 26~45세의 여성 행정인력, 26~45세의 성인, 그리고 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네 가지로 분류했다. 또한 5대 도시의 백화점 대표들을 인터뷰하여 그들의 의견도 들어보았다. 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대 도시 소비자가 구매하는 의류의 종류 5대 도시의 응답자는 만약 중가 의류를 구매하려 한다면 홍콩브랜드를, 고가 의류 구매자의 경유는 외국 브랜드를 먼저 선택할 것이라고 대답했으며, 저가 시장은 중국 브랜드가 차지했다. 반이 넘는 응답자가 홍콩 의류 브랜드를 잘 알고 있었고, 홍콩 브랜드 의류는 품질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광주 및 상해 소비자가 홍콩 브랜드에 대해 가장 좋은 인상을 갖고 있었다. 응답자는 홍콩 브랜드 의류는 편하고, 세련되고, 품질이 우수하다고 여기고 있었고, 화이트칼라 여성이 잘 알 고 있는 홍콩 정장 브랜드로는 Esprit.Theme.G2000.Michel Rene.Jessica 그리고 Episode이 있었다. 캐주얼에 있어 응답자들에게 익숙한 브랜드로는Baleno, Giordano, Jean West, AppleShop, Bossini, Esprit, U2, Crocodile, Goldlion이 있었다. (2) 기성복 구매 빈도 및 장소 응답자의 77%가 매번 쇼핑할때마다 의류매장에 들른다고 했다. 화이트칼라 여성 응답자의 83~85%가 의류매장에 자주 가서 옷을 산다고 대답했다. 옷 사는 것을 가장 좋아하는 소비자를 도시 순위 에 따라 살펴보면 광주 88%, 상해 83%, 대련 72%, 성도 76%, 북경 66% 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보통 휴일에 기성복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61%, 상해 59%, 성도 46%) (3) 기성복 구매 루트 체인점(38%)이 1위, 그 다음으로는 백화점(35%), 의류 쇼핑 센터(16%)로 나타났다. 학생 응답자중에서는 반수 이상이 체인점 에 가서 캐주얼 의류를 사는 것을 좋아한다고 대답했고, 여성 행정 인력은 백화점에가서 옷을 사는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이트칼라 여성 응답자 중 60% 이상이 품질을 가장 중요시 한다고 했으며, 54%는 색상과 스타일을, 38%는 가격을 중시한다고 대답했다. 캐주얼 의류에 있어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가격을 가장 중시한다고 대답했다. (4) 의류 구매 시기 응답자의 67%가 일시적인 충동으로 옷을 구매한다고 대답했으며, 그중 상해 응답자의 비율이 가장 높아 82%를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광주 72%, 북경 64%로 나타났다. 중국에서 의류 판매가 가장 많은 시기는 5?1 노동절 휴가기간, 10?1 국경절 휴가기간, 설 연휴였고, 일반적으로는 1,2,10,12월이 성수기, 4,6,9월이 비수기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대부분의 젊은 화이트칼라 여성(65%)은 옷이 예쁘면 실제로 필요하지 않아도 옷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의류 구매시 소비 금액 응답자가 매년 옷 구매에 쓰는 돈은 2,080위안(RMB, 이하 상동)으로, 개인 수입의 7.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련이 1위로 2,850위안이었고, 상해(2,300위안), 광주(1,850위안), 성도(1,740위안) 그리고 북경(1,660위안)이 차례로 그 뒤를 이었다. 여성 행정인력이 옷에 쓰는 돈이 가장 많았다. 매년 평균 3,130위안으로 화이트칼라 여성은 2.840위안, 학생은 900위안 밖에 쓰지 않았다. 2001년 응답자들이 수트(suit) 단벌에 사용한 돈은 500위안이 넘으며, 자켓은 430위안이 넘고, 그 밖에 다른 단벌에 쓴 돈은 100~200위안 이었다. 소비자가 옷을 살 때 사이즈 다음으로 가장 중시하는 5가지 사항은 몸에 잘 맞는지(94%), 박음질(92%), 적당한 가격(88%), 원료(97%) 및 세련된 스타일(76%)였다. 대부분의 응답자는 구입한 옷에 대체적으로 만족한다고 대답했지만 성도의 응답자들은 유행정보가 별로 없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구입한 옷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구입한 옷에 대해 불만족해 하는 응답자 중 60%가 옷 스타일을 잘못 고른 데에 불만족하고 있었으며, 품질, 색상, 사이즈가 그 뒤를 이었다. 반이 넘는 응답자는 세일은 소비자를 가장 유혹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중국에서 의류를 판매하는 백화점 및 체인점 모두 연휴기간에 세일을 하고 있었다. 이 밖에도 TV, 옥외광고, 무료 증정품 등이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방법이었다. ▲중국 중산층 소비자의 소비 특징 분석 홍콩무역발전국이 2003년 5월에 내놓은 연구보고는 중국 소비자들이 제품의 개성을 점차 중요시하면서 홍콩 제품은 반드시 확실한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브랜드 확립으로 중국 중산층 소비자를 끌어들어야>라는 제목의 이번 보고서는 홍콩무역발전국의 전문가가 홍콩업체들은 반드시 날로 성장하고 경쟁이 치열해지는 중국 소비시장을 공략하고, 확실한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중국 중산층 소비자 계층을 확보해야만 한다고 조언했다. 홍콩무역발전국의 Assistant Chief Economist 인 치우리핑 (邱麗萍)씨는 중국 시장 제품의 품질이 날로 좋아지고 있기 때문에 홍콩제품이 단지 '품질 우수' 라는 점만으로 소비자에게 어필한다면 더이상 중국내에서의 좋은 실적은 보장하기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업체는 홍콩의 제품의 성공 요소인 합리적인 가격, 우수한 품질, 참신한 디자인 및 국제적인 이미지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나만의 스타일 표현' 이라는 테마로 중국의 중산층 소비자 계층의 소비심지를 공략함으로서 홍콩제품의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해야 한다. 보고서는 중국 소비패턴을 잘 알고 있는 27명의 전문가와 중국 도시의 16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직접 인터뷰를 한 뒤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중국 연간 수입이 6만위안 정도인 중산층은 1억 명 정도 된다. 중국의 중산계층은 소비에 있어 품질과 흥미를 점차 중시하고 있으며, 개인의 스타일과 유행에 민감하다. 중국 중산층의 소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먼저 돈을 쓸 수 있는 여력이 된다. 돈을 많이 쓰더라도 최신 세계 유행을 따라가려고 한다. 둘째, 참신한 생각, 멋진 디자인, 스타일을 가진 제품을 선호한다. 셋째, 소비관념이 성숙해 지지 시작했다. 중산층은 맹목적으로 브랜드만을 고집하기 보다는 자신만의 스타일을 더 중시한다. 이 점은 상해와 광주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중산층이 가장 싫어하는 것은 외국회사가 중국을 유행지난 제품을 파는 시장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들은 유행을 따르고, 또한 부담능력과 제품이 그만한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를 중시한다.
저작권자 © 국제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